linux

·linux
도커에서 아파치와 톰캣을 띄운뒤 서로 연동해보는 테스트를 진행해 보겠다. 이번 테스트에서는 docker compose 같은 것들은 설정하지 않고 오직 아파치 이미지와 톰캣 이미지를 다운받아 띄운 뒤 서로 연동하여 정상적으로 접속되는지만 진행 할 것이다. 흐름은 client → apache(web) → tomcat(was) 이 흐름으로 요청이 전달될 것이다. 나는 아래와 같은 작업 순서를 가지고 진행할 것이다.아파치 컨테이너 띄우기톰캣 컨테이너 띄우기톰캣 컨테이너에 war파일 배포 후 접속 되는지 확인하기 (바로 was로 접속)아파치에서 필요한 설정 잡고 아파치를 통하여 톰캣으로 요청이 전달되는지 확인하기  1. 아파치 컨테이너 띄우기docker run -d --name test-web -p 80:80 h..
·linux
이번엔 리눅스에 DNS서버를 구축하여 레코드 질의시 정상적인 응답을 받는 간단한 실습을 진행하려고 한다. 1. 패키지 설치DNS 서버 구축을 위해 bind 패키지를 설치한다.[root@localhost ~]# yum install -y bindLoaded plugins: fastestmirrorDetermining fastest mirrorsbase: [mirror.kakao.com]()extras: [mirror.kakao.com]()updates: [mirror.kakao.com]()base | 3.6 kB 00:00:00extras | 2.9 kB 00:00:00updates | 2.9 kB 00:00:00(1/2): extras/7/x86_64/primary_db | 250 kB 00:00:00(..
·linux
리눅스에서 umask 명령어로 생성하는 파일이나 디렉토리의 권한을 조정할 수가 있는데 현재 설정되어있는 umask값은 umask명령어로 아래와 같이 확인이 가능하다.[root@localhost /]# umask0022 0022이면 앞에있는 0을 제거하여 022로 보면 되는데 리눅스에서 파일의 기본 권한은 666 디렉토리의 기본 권한은 777이다. umsk는 위의 기본 권한에서 빼는 역활을 한다.파일 : 666 - 022 = 644디렉토리 : 777 - 022 = 755 그래서 umask가 022로 되어있는 상태에서 파일이나 디렉토리를 생성하면 아래와 같이 권한이 부여된 상태에서 생성된다.[root@localhost jeygeon]# ls -trl합계 0-rw-r--r--. 1 root root 0 4월..
yoongeon
'linux' 카테고리의 글 목록